본문 바로가기

환경정책90

서식지내 보전 서식지외 보전 도입취지 보전기관 지정절차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 복 많이 듬뿍 받으세요.. 오늘은 자연지역 및 생물종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인 서식지 내 보전, 서식지외 보전의 도입 취지, 서식지외 보전기관 허용범위 지정절차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서식지내 보전과 서식지외 보전의 도입취지 1) 1992년 6월에 채택된 ‘생물다양성협약(CBD)’ 은 그 전문 및 제1조에 협약의 3가지 목적을 규정하고 있다.   ①생물학적 다양성의 보전, ② 생물다양성 구성요소 들의 지속가능한 이용, ③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를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세 가지 목적의 균형을 추구하고 있다  2) 생물다양성협약은 수많은 다자간 국제환경협약 가운데 여러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먼저, 이 협약.. 2025. 1. 1.
생물다양성 상쇄제도 정의 목적 수행방안 종류 안녕하세요.. 오늘은 생물다양성 상쇄제도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생물다양성 상쇄제도 정의 1) 개발사업 등으로 손실된 생물다양성을 대체하기 위해서 동일한 생태적 질을 갖는 자연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 2) 총량제의 목표(no net loss(NLL) 또는 net gain)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일정 수준의 계속적인 개발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책수단  2. 생물다양성 상쇄제도의 목적 1) 생물다양성 총량(No Net Loss : NNL)의 유지 2) 개발사업자가 생물다양성 손실을 고려하도록 하여 환경비용의 내부화를 촉진하고, 사회적으로 최적수준의 생물다양성을 유지  3. 생물다양성 상쇄제도의 수행 방안 1) 환경영향의 저감수단과 관련한 위계에 있어 마지막 단계에서 수행  2) 생물다양.. 2024. 12. 31.
생물다양성 알파 베타 감마 다양성 안녕하십니까 환정남 입니다. 어제에 이어 생물다양성 중 알파, 베타, 감마 다양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https://rich1000se.tistory.com/entry/%EC%83%9D%EB%AC%BC%EB%8B%A4%EC%96%91%EC%84%B1-%EC%A0%95%EC%9D%98-%EA%B0%80%EC%B9%98-%EA%B0%90%EC%86%8C%EC%9B%90%EC%9D%B8HIPPO-%EA%B4%80%EB%A0%A8-%EA%B5%AD%EC%A0%9C%ED%98%91%EC%95%BD  1. 생물다양성 정의 육상생태계 및 수생생태계와 이들의 복합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種內)·종간(種間)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생물다양성법, 제2조(정의.. 2024. 12. 30.
생물다양성 정의 가치 감소원인(HIPPO) 관련 국제협약 안녕하십니까 환경에 대한 이슈를 정리하는 환정남 입니다. 오늘은 생물다양성 정의와 감소원인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HIPPO 라고 불리우는데요.. 코뿔소 아닙니다 ㅎ 생물다양성 감소 원인을 5개로 영어 앞자를 따서 만든 용어입니다. 1. 생물다양성 정의 육상생태계 및 수생생태계와 이들의 복합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種內)·종간(種間)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생물다양성법, 제2조(정의))  2. 생물 다양성의 가치①생태적 가치• 다양한 생물은 산림, 해양, 갯벌, 습지 등 다양한 형태의 생태계를 이룸• 생태계는 에너지 및 물질순환을 통해 환경을 조절• 생태계서비스 가치는 연간 33~72조 달러로 추정②경제적 가치• 의식주(천연섬유, 자생식물 5천.. 2024. 12. 29.
화학물질 이력 추적관리 제도 도입배경 기대효과 안녕하십니까 환경에 대한 이슈를 정리하는 환정남입니다. 오늘은 어제와 연관된 주제인데요 화학물질 관리제도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화학물질 이력 추적관리 제도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개 요  1. '화학물질 이력추적관리제도'란 국내에 제조·수입되는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고유식별번호(화학물질확인번호)를 부여하고, 혼합·보관·판매 등에 이르기까지 이를 표시·관리하는 제도   2. 현행 화학물질 확인명세서 제도는 관련 기업에서 화학물질을 제조하거나 수입할 때 성분이나 함량을 누락하거나 조작하여 ‘화학물질 확인명세서’를 제출해도 이를 교차 검증하기 위한 정보나 수단이 미흡하며, 동일한 화학물질이 유통되어도 이를 취급하는 기업마다 각종 신고·보고 및 통계조사 시 제품명을 각각 다르게 기입함에 따라 정부가 허위.. 2024. 12. 28.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화학제품안전법) 제정이유 및 주요내용 안녕하십니까 환경에 대한 이슈를 정리하는 환정남입니다. 가습기 살균제 이슈 기억나시죠?? 얼마전 법원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에 대한 추가적 분담금은 취소라는 결정이 나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가 추가 17명 발생되었다는 보도도 있었고요.. 오늘은 생활화학제품 및 상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화학제품안전법) 제정이유 및 주요내용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69951.html  법원 “가습기살균제 피해 지원 추가 분담금 취소”…애경산업 승소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지원 재정으로 쓰이는 생산업체의 분담금에 대해 법원이 ‘분담금 비율을 잘못 정했다’며 부과 처분을 취소하라고 판결했다. 서울.. 2024.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