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책90 도시홍수의 원인 기후변화 대응(완화 적응) 관점에서 피해저감 대책 안녕하십니까 환경에 대한 이슈를 정리하는 환정남입니다. 오늘은 도시 홍수의 원인 및 저감대책을 기후변화 대응 관점에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개 요 1. 최근 폭우로 인한 산사태 및 도시침수 등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가 발생 2. 저탄소 녹색성장 등 온실가스 감축에 집중되었던 정책적 관심(완화)도 재해예방과 관리 등 ‘적응’ 쪽으로 선회 3. 완화와 적응은 독립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후변화 정책도 완화와 적응의 적절한 정책 조합의 필요성이 대두 기후변화 완화(mitigation)와 적응(adaptation) 1. 개념 1) 완화(mitigation) : ‘감축’이라고도 함 온실가스(GHG) 흡수원을 확충하거나 온실가스 발생원을 줄이기 위한 인위적인 개입을 하는 등의 사전예방을 의미 2.. 2024. 12. 26.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안녕하십니까 환경에 대한 이슈를 정리하는 환정남입니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들어보셨나요?? 기후온난화와 관련 두 가지 제도가 있는데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개념 국내에서 시행중인 기후변화협약과 관련한 국가정책으로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제도와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를 시행하고 있음 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GHG Emission Trading Scheme) 1) 개념① 기업별로 배출권을 할당하고 그 범위 내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도록 하되, 여분ㆍ부족분에 대해 타기업과의 거래를 허용② 기업은 자신의 온실가스 감축비용에 따라 자율적으로 직접 감축활동을 하거나 시장에서 배출권 매입 가능 2) 운영방식 온실가스 로드맵에서 제시된 연도별 목표배출량에 따라 배출권 발행총량을 정.. 2024. 12. 25.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2020~2040) 추진과제 안녕하십니까 환경에 대한 이슈를 정리하는 환정남입니다. 2019년 10월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기후변화란 지구 연평균 온도가 상승하는 상황을 말하는 것인데 이 기후변화 대응에는 완화(감축) 전략, 적응 전략 두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감축(완화) 전략은 적극적은 방법으로 지구의 온도상승의 주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전략이고, 적응 전략은 연평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폭염, 폭우로 인한 위기)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전략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참고로 최근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https://www.yna.co.kr/view/AKR20241213124100017 정부, 내년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에.. 2024. 12. 24. 댐 건설시 온실가스는 얼마나 증가할까? 온실가스 환경영향평가 지침 소개 안녕하세요 환경에 대한 이슈를 정리하는 환정남입니다. 환경부는 16일 기후미래포럼 회의를 개최합니다. 기후미래포럼은 온실가스의 장기 감축경로를 마련하고 에너지, 산업, 수송, 건물 등의 주요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논의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환경영향평가 제도에서는 일정규모 이상의 프로젝트에서 온실가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게 됩니다. 현재 온실가스 현황을 파악하고 프로젝트 시행에 따른 온실가스 영향(증가 또는 감소)을 예측하고 저감방안을 마련하게 됩니다. 오늘은 환경영향평가 시 온실가스 항목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지침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https://www.gov.kr/portal/ntnadmNews/4111823?srchOrgCd=1480000&hideurl=N 우리나라 장기 온실가스.. 2024. 12. 23. 우리는 자연적으로 방사능을 맞는다고?? 방사능물질 라돈(Rn) 특성 기준 안녕하세요 환경에 대한 이슈를 정리하는 환정남입니다. 라돈 방사성 물질 들어보셨나요? 침대 매트리스에 포함되어 있어서 온 국민이 불안에 떨었던 사건을 기억하시나요??? 침대 매트리스 수거하고 난리였었는데.. 일반적으로 방사성 물질은 붕괴되며 나오는 방사성 물질(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등) 들이 인체 세포의 DNA를 변형시켜 유전, 돌연변이 등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오늘은 라돈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12759.html ‘라돈 침대’ 48억 손배소 소비자 쪽 패소…“건강 위험 인정 어려워”방사성 물질 ‘라돈’이 나온 매트리스를 쓴 소비자들이 침대회사와 국가 등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 2024. 12. 22. 자연보호를 남북한 함께 협력.... 남북환경협력 현황 주요분야 안녕하십니까 환경에 대한 이슈를 정리하는 환정남입니다. 북한은 우리보다 환경에 관한 관심이 덜할것으로 추측되는데요 과도한 산림개발 등... 통일 이후에 우리나라의 생태축 확보를 위해 미리 협력을 하는 사전예방적 자연보전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남북 환경협력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85384 남북 환경협력 등을 위한 연구 필요성과 향후 과제 | 국내연구자료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국회입법조사처는 남북 환경협력 등을 위한 연구 필요성과 향후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 두 개의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서는 남북한 공동으로 관심을 두eiec.kdi.re.kr Ⅰ. 북한.. 2024. 12. 21. 이전 1 2 3 4 5 6 7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