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유해남조류는 수중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로, 특히 녹조현상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환경부에서는 독성물질을 배출하여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남조류 4종을 유해남조류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4종의 유해남조류의 특성, 발생 원인, 영향 및 관리 방안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조류경보제 목적 발령기준 정리
조류경보제 목적 발령기준 정리
오늘은 우리나라 조류경보제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디조류경보제https://www.water.or.kr/kor/menu/sub.do?menuId=16_177_281MyWater 물정보포털조류경보제 MyWater 물정보포털www.water.or.kr1. 개요대한민국의 조
sparklingwld.com
유해남조류의 개요
남조류(blue-green algae)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으로, 실제로는 조류가 아닌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에 속하는 원핵생물입니다. 환경부는 국내에서 녹조 현상을 일으키는 유해 남조류 4종(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베나, 오실라토리아, 아파니조메논)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독성물질을 생성하여 수중 생태계와 인간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유해남조류 4종의 특성
1.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마이크로시스티스는 국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유해남조류입니다.
물리적 특성:
- 세포 내에 공기주머니가 있어 수표면 혹은 수중에 부유합니다.
- 군체를 형성하여 녹색 점액질의 형태로 수면에 떠다닙니다.
생태적 특성:
- 최적 성장온도: 25℃~35℃ (고온성)
- 발생시기: 늦봄부터 늦가을까지
- 주로 여름철 고수온기에 대량 번식합니다.
**독성 및 영향:**
- 주요 독소: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s)
- 간독소 성분을 가지고 있어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곰팡이냄새와 흙냄새를 유발합니다
2. 아나베나(Anabaena/Dolichospermum)
아나베나는 마이크로시스티스 다음으로 흔하게 발견되는 유해남조류입니다.
**물리적 특성:**
- 세포 내에 공기주머니가 있어 수표면에 부유합니다.
- 사슬 모양으로 연결된 형태를 보입니다.
**생태적 특성:**
- 최적 성장온도: 20℃~25℃
- 발생시기: 봄, 초여름, 가을
- 질소 고정 능력이 있어 질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번식 가능합니다.
독성 및 영향:
- 주요 독소: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s), 아나톡신(Anatoxin)
- 간독소와 신경독소 성분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 곰팡이냄새와 흙냄새를 유발합니다
3.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오실라토리아는 다양한 수환경에서 발견되는 유해남조류입니다.
물리적 특성:
- 실 모양의 사상체를 형성합니다.
- 진동하는 움직임이 특징적입니다.
생태적 특성:
- 최적 성장온도: 20℃ 이하
- 발생시기: 봄부터 가을까지
- 저온에서도 생존 가능하여 넓은 온도 범위에서 발생합니다.
독성 및 영향:
- 주요 독소: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s), 아나톡신(Anatoxin)
- 간독소와 신경독소 성분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 곰팡이냄새와 흙냄새를 유발합니다
4.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아파니조메논은 다른 유해남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번식이 가능합니다.
물리적 특성:
- 다발 형태로 군체를 이루며 수면에 떠다닙니다.
- 질소 고정 능력이 있습니다.
생태적 특성:
- 최적 성장온도: 20℃ 전후
- 발생시기: 봄, 가을, 초겨울
- 다른 남조류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도 번식합니다.
독성 및 영향:
- 주요 독소: 삭시톡신(Saxitoxins)
- 신경독소 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 곰팡이냄새와 흙냄새를 유발합니다
유해남조류의 발생 원인
유해남조류의 대량 발생(녹조현상)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촉진됩니다:
1. 영양염류 과다 유입: 질소, 인과 같은 영양물질의 과다 유입으로 인한 부영양화가 주요 원인입니다.
2. 기후 요인:
- 높은 수온: 특히 마이크로시스티스는 25℃ 이상의 고온에서 번식이 활발합니다.
- 강한 일사량: 광합성을 촉진하여 남조류의 성장을 돕습니다.
3. 수리학적 요인:
- 물 순환 정체: 체류시간이 증가하면 남조류가 증가
'환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성환 환경부장관 예정자는 누구? 환경정책의 방향은? (1) | 2025.07.19 |
---|---|
조류경보제 목적 발령기준 정리 (2) | 2025.07.17 |
기후온난화 주범 온실가스 6종류 (11) | 2025.05.10 |
환경부 야적퇴비관리 매뉴얼 작성 지자체 배포, 함부로 야적퇴비 방치시 법적 처벌 (5) | 2025.04.02 |
생태마을 개념 지정 종류 지정기준 지원내용 (7)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