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정책

빌레나무? 정의 효과 미세먼지 저감사업에 대해 정리

by 환정남 2025. 8. 10.
반응형

빌레나무미세먼지를 저감 하는 식물이라는 소식을 듣고 빌레나무가 궁금해졌습니다 ㅎ 빌레나무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ㅎㅎ


빌레나무는 어떤 식물인가요?

빌레나무는 우리나라 제주도에 자생하는 식물로, '빌레'라는 이름은 제주 방언으로 '돌이 넓게 깔린 곳'을 의미한다고 해요. 빌레 지역에서 주로 자라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 나무는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상록성 덩굴성 떨기나무인데요, 높이는 1~1.5m 정도이며 가지를 치고 땅에 닿는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는 특징이 있습니다. 2006년에 존재가 확인되었고, 2011년에 국가식물표준원에 등록되었다고 해요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요?

빌레나무는 실내 공기질 개선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특히 초미세먼지(PM-2.5)와 같은 오염 물질 저감 효과가 다른 식물에 비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어요. 실험 결과, 빌레나무가 보급된 공간에서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평균 20% 정도 낮아졌고,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이나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를 줄이는 데도 우수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또한, 습도는 평균 10~20% 높아지거나, 심지어 무처리구 대비 4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실내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환경부의 빌레나무 보급 시범사업 효과는 어땠나요?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빌레나무의 실내 공기질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보급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서울 삼양초등학교 교실 등 시범적으로 빌레나무를 보급한 결과, 일반 교실 대비 초미세먼지 농도가 평균 20% 낮게 나타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했다고 해요. 이는 아이들이 생활하는 교육 공간의 공기질을 개선하는 데 실제적인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합니다.

향후 전망은 어떠한가요?

정부는 빌레나무의 실내 공기질 개선 효과를 바탕으로 보급 시범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빌레나무의 확산은 교육계뿐만 아니라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으며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요 . 앞으로도 환경부는 영유아, 학생, 어르신 등 민감 계층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공기질 개선 효과가 우수한 식물들을 계속 찾아내 보급할 계획이라고 하니, 빌레나무가 더 많은 공간에서 우리의 건강을 지켜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