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비상계엄... 재 5공화국 드라마가 생각 납니다(개인적으로 재미있게 봤던 드라마 입니다 ㅎ). 문득 현재는 몇 공화국일꺼 궁금하여 대한민국 ‘제n공화국’ 구분 기준과 각 공화국 특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공화국을 나누는 핵심 기준
- 헌법의 제정 또는 전면 개정으로 정부 형태와 권력 구조가 구조적으로 바뀌었는가
- 대통령 선출 방식(직선/간선), 임기·중임 규정 등 최고권력 규칙의 근본적 변화
- 권력분립·견제장치의 큰 폭 변화(의회·사법의 위상, 헌재 설치 여부 등)
- 기본권 보장 수준과 지방자치 제도 등 국가 운영 원리의 실질적 변화
- 보통 4·19, 5·16, 10월 유신, 12·12/5·18, 6월 항쟁 같은 역사적 전환과 맞물려 발생
> 메모: ‘제n공화국’은 법률상 공식 명칭이라기보다 역사·정치학에서 널리 쓰는 구분 관례입니다. 시기 표기는 자료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2) 지금까지 몇 공화국인가요?
- 대한민국은 통상 제1공화국부터 제6공화국까지로 구분합니다. 현재는 제6공화국(1987년 개헌 체제)이 지속 중입니다.
3) 각 공화국 한눈에 비교


4) 공화국별 특징 더 자세히 보기
- 제1공화국(1948–1960)
- 제헌헌법으로 국가 체제 수립, 권력분립 틀 마련
- 대통령 선출 방식이 간선에서 직선으로 변경되며 권력 집중 심화
- 정치적 탄압과 부정부패에 대한 저항이 4·19 혁명으로 폭발
- 제2공화국(1960–1961)
- 내각책임제로 권력 분산 시도, 대통령은 상징적·총리가 실권
- 민주화 의지 있었으나 정국 불안과 단기간에 5·16으로 종료
- 제3공화국(1963–1972)
- 직선제 복귀, 강한 행정부 중심 체제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등으로 산업화·도시화 가속
- 정치적 자유는 제한적, 군 출신의 정치 주도
- 제4공화국(1972–1981)
- 유신헌법으로 대통령 권한 대폭 강화·장기집권 구조화
- 긴급조치 등으로 언론·정치 자유 크게 위축
- 경제는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확장
- 제5공화국(1981–1987)
- 대통령 선거인단 간선·7년 단임, 권위주의 통치 지속
- 사회 전반의 민주화 요구 확대, 시민사회 성장
- 제6공화국(1987–현재)
- 1987년 개헌: 대통령 직선·5년 단임, 권력분산과 기본권 보강
- 헌법재판소 설치, 선거·집회·표현의 자유 확대
- 지방자치 부활(1990년대 전면 실시)로 분권 심화
5) 과거 공화국별 대통령 현황






이상으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별사면 일반사면 정리 (6) | 2025.08.07 |
---|---|
근로장려금 제도 정의 및 주요내용 한눈에 정리 (4) | 2025.08.07 |
아듀의 뜻? 어원 정리 (5) | 2025.08.07 |
특별재난지역 정의 대상 및 지원내용 정리 (4) | 2025.08.06 |
골드카드는 들어봤는데 블랙카드 ?? 블랙카드 개념 혜택 연회비 정리 (7) | 2025.08.06 |